2023.10.20by 김예지 기자
미래 전략산업으로 주목받는 로봇이 모든 제조·서비스 영역에서 전후방 산업 생태계를 형성하며 혁신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봇은 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으로 나뉜다. 제조 산업용 중심으로 발전해온 로봇은 최근 센서·AI·자율주행 등 ICT와 접목해 배송·돌봄·서빙·순찰 등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했다.
2023.10.05by 김예지 기자
이음5G가 다양한 산업 분야로 뻗어가고 있다. 이번에는 물류 현장에서 수십 대의 로봇 동시 제어와 조선소의 공정 및 안전관리에 이음5G 융합서비스를 사용한다.
2023.08.07by 김예지 기자
LG유플러스가 '서빙'에 이어 '물류'로 로봇사업 분야를 확대 및 물류센터 운영 자동화를 달성하기 위해 자율주행 솔루션 전문기업 유진로봇과 물류로봇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023.06.22by 권신혁 기자
산업 인력 감소가 전세계 추세로 관측되고 있는 가운데 물류 자동화를 도입하는 현장에 ‘물류 역동성(다이나믹스)’에 대한 대응 역량이 필수적으로 수반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2023.06.07by 배종인 기자
KT가 강남구청과 함께 ‘실외 로봇 배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2023.05.24by 권신혁 기자
“칩 제조는 가속 컴퓨팅과 AI 컴퓨팅을 위한 ‘이상적인 애플리케이션’이다” 엔비디아가 최근 개최한 벨기에 앤트워프에서 열린 ITF 월드 2023(ITF World 2023) 반도체 컨퍼런스에서 가속 컴퓨팅과 AI의 역할에 대한 화상 강연을 진행하며 한 말이다.
2023.03.08by 김예지 기자
SKT가 뉴빌리티의 로봇 ‘뉴비’에 AI 기술을 접목하고, SK쉴더스의 보안 솔루션을 탑재해 ‘자율주행 AI순찰로봇’ 공동 개발 및 사업화에 나선다.
2023.01.17by 김예지 기자
온로봇이 프로그래밍이 필요 없는 로봇 어플리케이션 설치 자동화 플랫폼 ‘D:PLOY(디플로이)를 출시하며 로봇 솔루션 통합 제공자로서 저변을 넓힌다. 온로봇 코리아 최민석 지사장은 “별도의 프로그래밍이 전혀 필요 없는 디플로이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게 즉각적으로 로봇 전문가가 될 수 있어 모든 규모의 제조 업체의 협업 자동화 진입을 도울 것”이며, “기존 솔루션 대비 최대 시간 90%까지 줄여 전체 자동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3.01.11by 김예지 기자
협동로봇이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되며 미래 먹거리로 조망되고 있다. 세계 3대 로봇 강국을 목표로 국가차원에서 미래전략산업으로 대두되는 만큼, 국내외 로봇 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2023년에도 로봇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며, 로봇의 일상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2.12.26by 성유창 기자
씨이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추진하는 ‘2022년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의 하나로 ‘배송로봇 비도로 운행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