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1by 김예지 기자
SKT는 10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삼성전자, LG전자와 함께 한 1996년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대규모 상용화가 국제전기전자공학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가 선정하는 ‘IEEE Milestone(이정표)’에 등재됐다고 밝혔다.
2024.05.31by 김예지 기자
[편집자주] 통신의 역사는 인간의 연결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역사입니다. 선사 시대부터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통신의 기능은 소통과 약속의 수단으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888년 조선시대 전기통신이 최초 도입됐으며, 해방 후 1980년대 통신사업과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정보화 시대가 개막했습니다. 이제 5G, 6G 시대를 맞아 차세대 통신이라 꼽히는 위성통신, 양자통신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로봇·클라우드·UAM 등 첨단 기술 발전과 함께 통신은 점점 중요해지며, 끝없이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통신은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져 있는 가장 기본이 되는 동시에 핵심이 되는 기술입니다. 본지는 이번 기획 시리즈를 통해 통신의 역사부터 소소한 사건, 기술, 트렌드까지 통신과 관련된 이모저..
2024.05.16by 김예지 기자
SK텔레콤은 국내 통신사 최초로 유선망 운용에 필요한 모든 제어·점검 작업의 자동화가 가능한 차세대 유선망 제어 플랫폼 ‘AI 오케스트레이터(AI Orchestrator)’를 자체 개발하고 5G/LTE 유선망 전체에 적용했다고 15일 밝혔다.
2024.05.14by 김예지 기자
SKT는 AI 데이터센터(AI DC) 관련 기술의 글로벌 표준 정립을 위해 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에 제안한 ‘AI DC 기술의 연동구조와 방식’ 아이템이 ITU-T 스위스 제네바 국제회의에서 신규 표준화 과제로 10일(현지시간) 승인됐다고 밝혔다.
2024.05.09by 김예지 기자
SKT가 2024년 1분기 성적표를 내놨다. SKT는 연결 기준 2024년 1분기 매출 4조4,746억원, 영업이익 4,985억원, 당기순이익 3,619억원을 기록했다.
2024.04.30by 김예지 기자
SKT가 30일 SKT타워 수펙스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픈 AI, 앤트로픽 등 범용 모델을 기반으로 만든 텔코 LLM을 소개했다. SKT는 8개월의 개발 기간을 거쳐 텔코 LLM을 만들었으며, 이르면 오는 6월 중 국내향 버전을 선보이며, 이후 글로벌 버전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2024.04.26by 김예지 기자
SKT가 국내 통신사 최초로 'AI 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IEC 42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SKT타워에서 진행된 인증 수여식에는 SKT 정재헌 대외협력 담당(사장), 한국표준협회 강명수 회장 등이 참석했다.
2024.04.19by 김예지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농어촌 5세대(5G) 공동이용 계획’의 마지막 3단계 상용화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2024.04.18by 김예지 기자
국내 최대 규모 ICT 전시회 ‘월드IT쇼’가 개막했다. 국내 통신 기업들이 차세대 AI 기반 기술 및 서비스를 대거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SKT는 글로벌 AI 컴퍼니로의 도약을 선언하며 에이닷, 텔코 LLM, AI 데이터센터 등을 선보였고, KT는 고객이 일상생활 속에서 체험하는 AICT 기술을 소개했다.
2024.04.02by 김예지 기자
제4이통으로 출발한 스테이지엑스가 28GHz 서비스를 안착하기 전 핫스팟 지역에서 데이터를 무료로 제공해 고객에게 실질적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