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2.13by 이수민 기자
마이크로칩은 여러 소프트웨어 작업을 하드웨어로 오프로드하여 고성능 솔루션의 출시를 가속하는 PIC18-Q43 MCU 제품군을 출시했다. MCU 기반 시스템 디자인에서 소프트웨어는 개발 및 출시 기간, 시스템 성능 모두에서 종종 병목현상의 원인이 된다. 다양한 주변장치를 결합한 PIC18-Q43 제품군은 맞춤형 하드웨어 기반 기능 생성 시 개발 툴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성과 간편성을 제공한다.
2020.02.04by 이수민 기자
RISC-V는 축소 명령어 집합 컴퓨터(RISC) 기반 개방형 명령어 집합(ISA)이다. 무료면서 개발자가 원하는 설계 방향대로 성능에 맞게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유명 반도체 기업들이 RISC-V 기반 프로세서를 하나둘 출시하면서 RISC-V 보안에도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RISC-V 기반 프로세서가 주로 채택되는 IoT 기기 및 시스템에서 보안은 그 어떤 애플리케이션보다 중요한 가치이기 때문이다.
2020.01.20by 이수민 기자
기능 안전성 인증은 많은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으나 인증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사용된 개발 툴이 TÜV SÜD 등 기능 안전성 전문기관에 의한 인증 툴이 아닌 경우, 해당 개발 툴 사용 근거에 대한 타당성을 구체적으로 입증해야 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MPLAB XC 컴파일러가 TÜV SÜD에서 기능 안전성 인증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2020.01.16by 이수민 기자
마이크로칩이 우주산업 인증 이더넷 트랜시버 VSC8541RT와 임베디드 이더넷 MCU MCUSAM3X8ERT를 발표했다. VSC8541RT와 SAM3X8ERT는 핀 배치 설정이 같다. 개발자는 항공우주 등급 부품을 이용하기 전에 COTS 디바이스로 개발을 시작할 수 있어 개발 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다.
2019.12.03by 이수민 기자
제조 생산 라인 등지에서 반복적인 데이터 로깅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제품은 처리 중 전원이 중단될 경우 자동으로 내용을 복원할 수 있어야 한다. 마이크로칩은 시스템 개발자들이 기존 직렬 비휘발성 램 대비 최대 25% 비용을 절감하는 직렬 주변장치 인터페이스 EE램 메모리 제품군을 새로 발표했다.
2019.11.14by 이수민 기자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자사의 어댑텍 스마트 스토리지 어댑터 제품에 이러한 기능을 추가하면서, 아메리칸 메가트렌즈의 MegaRAC SP-X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 펌웨어와의 완벽한 상호운용과 MegaRAC 솔루션 개발 프레임워크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어댑텍 스마트 스토리지 어댑터와 임베디드 BMC를 강화하는 MegaRAC SP-X 관리 펌웨어 간의 상호운용성은 플랫폼 상태 모니터링과 문제 알림, 진단과 복구 등의 원격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센터 운영비용을 절감한다.
2019.11.08by 이수민 기자
마우저의 협업을 통한 혁신의 새 시리즈인 빅 아이디어와 공학기술의 첫 번째 전자책, 아이디어를 설계하는 방법이 발간됐다. 이번 책에선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의 밥 마틴을 비롯한 고위 엔지니어들, 크라우드 서플라이의 공동창립자 겸 사장인 조시 리프톤 박사, IBM의 영국 및 아일랜드 지역 CTO인 앤디 스탠포드클락 박사가 필자로 참여했다. 또한 혁신에서 상품화로 이어지는 모델을 소개함으로써 기술 개발자들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2019.11.05by 이수민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의 SAM R30 Sub-1GHz 모듈을 공급한다. SAM R30 모듈은 중국의 780MHz, 유럽의 868MHz, 북미의 915MHz 등 전 세계 1GHz 이하의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최대 수신 감도 -105dBm 및 최대 송신 출력 전력 +8.7dBm을 제공한다. 마이크로칩 SAMR30E18A SiP와 결합한 SAM R30 모듈은 32비트 Arm Cortex-M0+ 코어에 최대 256KB 플래시 메모리 및 최대 40KB RAM을 갖췄다.
2019.10.28by 이수민 기자
단일 이더넷 케이블로 데이터 및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PoE 기술이 채택되고 있다. 이제는 기존 이더넷 인프라에서 잠정표준 PD를 새로운 IEEE 802.3bt 2018 표준 호환 전력 디바이스와 동시에 구현해야 한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IEEE 802.3bt 2018 표준에 적합한 PoE 인젝터와 미드스팬을 제공한다. 시스템 개발자용으로 잠정표준 및 IEEE 호환 PD가 스위치 및 케이블 교환 없이 최대 90W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PSE 칩셋들도 출시했다. 현재 마이크로칩의 IEEE 802.3bt 2018 호환 PD69208M·PD69204T4·PD69208T4 PSE 관리자, PD69210 PoE 컨트롤러 등은 대량 구입이 가능하다.
2019.10.24by 이수민 기자
우주용 애플리케이션은 점점 단순한 데이터가 아닌 가공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 또 제한된 다운링크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더욱 우수한 컴퓨팅 성능을 필요로 한다. 마이크로칩은 이에 내방사선 폴라파이어 FPGA를 출시했다. 최대 5배의 컴퓨팅 스루풋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1.5배의 성능, 3배의 논리 소자 및 SERDES 대역폭을 제공한다. 6배 높은 임베디드 SRAM를 제공하며,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대다수 인공위성과 다수의 심우주 사업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100kRad 초과치의 TID 노출도 견딘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