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29by 성유창 기자
화학물질안전원이 기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제조·사용 기준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하여 전문가의 기술 검토 등을 거쳐 디스플레이 제조업종도 반도체 맞춤형 취급시설 기준으로 적용한다고 밝혔다.
2023.09.04by 성유창 기자
삼성전자·삼성SDI·삼성디스플레이와 LG전자가 ‘경험’ 키워드를 필두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이끌 최신 전장 기술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2023.08.29by 배종인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이후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마이크로 LED 등 무기발광(iLED) 디스플레이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30일 기업, 협회, 전문가 등이 참여한 무기발광 산업육성 얼라이언스를 개최한다.
2023.08.24by 성유창 기자
9월 7일 e4ds Webinar에서 ST는 조도 센서인 VD6283의 기능과 제품의 혁신 가능성, 설계 리소스 및 소프트웨어 코드 예제를 비롯한 개발 툴에 대해 공유한다.
2023.08.17by 권신혁 기자
세계 디스플레이 산업을 선도하는 국내 기업들이 탄소중립을 위해 온실가스 절감 전략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이 중국 대비 더디며 비용과 규모 측면에서 뒤쳐져 관련 업계가 해외 업장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전환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08.17by 배종인 기자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가 자동차용 첨단 OLED 솔루션을 선보이며, 중국과 대만이 장악하고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OLED 부문의 시장 확대를 통해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점유율을 다시 높여나가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였다.
2023.08.04by 배종인 기자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존에 선점하고 있는 OLED 시장에서 주도권을 지켜내야 생존 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2023.07.18by 배종인 기자
차량용 반도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기차 등 7개 분야 핵심 소재·부품·장비의 국제(글로벌) 공급망 강화를 위한 전략적 시험대(테스트베드) 구축이 올해 250억원(4년간, 총 700억원, 국비 기준) 규모로 추진된다.
2023.05.30by 배종인 기자
정부가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에 투명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활용한 전시에 나서며, 투명, 초실감, 늘어나는 디스플레이 등 미래 디스플레이 신시장 개척의 포문을 열었다.
2023.04.06by 배종인 기자
정부가 반도체, 디스플레이, 차세대전지 등 3대 주력기술에 대해 5년간 160조원을 투자하며, 세계 1위 초격차 기술 확보전에 돌입한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