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3by 배종인 기자
구글이 발표한 ‘2024년 환경 보고서’에 따르면 구글은 2019년 이후 탄소 배출량이 50% 가까이 급증했고, 지난 2023년에만 전년대비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에 대해 구글은 2023년 데이터센터의 총 전력 소비량이 17% 증가했다며 AI의 급속한 발전과 수요 증가로 데이터센터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며, 탄소 배출량 역시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4.07.02by 김예지 기자
국민의 AI 리터러시 역량을 높이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공공 서비스에 AI를 도입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제시됐다.
과기부가 AI 산업 발전에 기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23건의 신기술 및 서비스에 대해 규제특례를 지정하고, 국산 AI 반도체를 기반으로 K-클라우드 기술개발 사업이 예타 통과를 완료했다.
2024.07.01by 김예지 기자
AI PC, 신규 스마트폰 출시 등 IT 기기 수요 증가로 올해 하반기 반도체 산업 전망이 긍정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올해 반도체 업계가 AI PC 칩셋을 대거 공개한 가운데, 내년부터 주요 글로벌 CSP의 엣지 AI 시장 본격 확대가 예고된다. 이와 함께 전력 효율이 높은 메모리 수요도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07.01by 권신혁 기자
현재 시장은 AI 기술 기업에 대한 투자 쏠림 현상과 함께, AI 인프라스트럭처를 구현하는 반도체 및 하드웨어 제조, SDV 및 전기차 신시장을 타겟하는 모빌리티 솔루션에서의 창업 생태계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2024.06.28by 성유창 기자
ST는 AI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간소화 및 가속화하도록 툴, 소프트웨어, 전문지식을 결합한 ST 엣지 AI 스위트(ST Edge AI Suite)를 제공한다고 28일 전했다.
2024.06.27by 배종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가 26일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2024년 제5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개최하고, ‘반도체 첨단패키징 선도 기술개발사업’과 ‘AI 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 사업’ 등 2개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를 심의 의결했다.
2024.06.26by 배종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가 개인정보 보호가 강화된 국산 AI 반도체 기반 온디바이스AI 지능형 홈 선도모델의 실증사업을 K-온디바이스 AI 플래그십의 첫 번째 프로젝트로 본격 추진하며, 수행 기관으로 △㈜효돌(서비스, 돌봄인형) △딥엑스(AI반도체) △와츠매터(디바이스) △행복커넥트·SKT(안전콜) △주택관리공단 및 복지기관(실증공간) 등이 참여한다.
이주석 인텔 부사장이 향후 AI 반도체 시장이 차별화된 데이터가 중시되는 엣지 디바이스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고, 이러한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력 있는 파운드리가 AI 반도체 시대에 핵심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2024.06.26by 김예지 기자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25일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센터의 열 관리를 강조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