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오픈 마켓에서 다양한 브랜드와 용량의 USB가 판매되고 있는데, 몇몇 USB 중에서는 터무니없는 고용량과 시중가에 비해 매우 저렴한 가격의 수상한 USB가 시중에 돌고 있어 소비자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2022.09.05by 권신혁 기자
안랩의 V3와 더불어 국민 백신이라고 불리는 이스트시큐리티의 알약에서 Windows 시스템을 랜섬웨어로 오탐지해 PC가 먹통이 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일각에서 보안 소프트웨어(SW) 오탐지는 고도화되는 악성코드와 랜섬웨어 등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벌어진다는 관..
2022.09.02by 권신혁 기자
지난 2년 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중단됐던 HCT 오토모티브 세미나가 올해 다시금 개최해 전장품 인증 동향과 EMC 솔루션 등을 강연하며 자동차 엔지니어들의 열띤 호응 속에 성료했다.
2022.09.01by 권신혁 기자
D램 세대교체가 본격화되고 있다. 국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DDR5 D램을 생산하며 차세대 시장 선점에 나선 가운데 강력한 경쟁자인 마이크론이 차세대 서버용 D램을 DDR5 규격으로 출시하며 기술력을 과시했다. DDR5는 전세대인 DDR4 대비 △더 큰 대역..
2022.08.29by 권신혁 기자
팹리스는 시스템반도체 분야 중 기술기반 분야이며 혁신성을 보이는 스타트업이 등장하는 등 성장성은 크지만, 매출?영업이익 등에서는 아직 영세한 중소기업이 대부분이다. 이에 정부 부처 및 관련 산학연에서 팹리스 기업의 자금?인력?상생 분야 주요 애로를 해소하기 위한 관련 ..
2022.08.26by 권신혁 기자
국내 반도체 생태계 육성에 대한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등 투자환경이 위축되며 기업경영에 난항이 예고되고 있다. 이에 팹리스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투자·지원 전략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2022.08.26by 권신혁 기자
반도체 미세공정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전세계 1,000억달러 시장에 육박하는 반도체 패키징 분야를 차세대 전략 산업으로 성장시켜야 한다는 논의의 장이 마련됐다.
2022.08.26by 권신혁 기자
전세계 인구는 77억명가량되지만 사용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숫자는 5,000억개가 넘는다. 반도체 트렌드는 1인당 PC, 휴대전화 보급율이 미미하던 2000년대 이전과 달리 시스코 글로벌 클라우드 인덱스 자료에 따르면 2008년을 기점으로 디바이스는 수는 인구 수를 넘어..
2022.08.25by 권신혁 기자
USB 규격이 타입 A에서 C로 전환되는 과정 속에 있지만 전세계 및 국내 소비자들은 여전히 USB 타입 A 보유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전망에서는 USB 타입 C, 그중에서도 듀얼 커넥터 제품군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22.08.25by 권신혁 기자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