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은 EU 내 유통되는 제품의 전체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를 수집·저장해 공유하는 제도이다. 이는 하나의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 칩셋을 비롯한 나사 하나까지도 탄소발자국 정보를 비롯한 제품의 원자재, 유통, 재활용 및 수리 가능성, 재활용 자재 비율 등의 정보가 수집·저장돼 완성품의 DPP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024 INNO-TECH KOREA FORUM 주요 참석자 기념사진
EU發 규제 리스크, 스콥3 조건 ‘DPP’로 확인
DPP, 원자재 트래킹·全 제품 수명주기 파악
제조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 必, 중소 여력 無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은 EU 내 유통되는 제품의 전체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를 수집·저장해 공유하는 제도이다. 이는 하나의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 칩셋을 비롯한 나사 하나까지도 탄소발자국 정보를 비롯한 제품의 원자재, 유통, 재활용 및 수리 가능성, 재활용 자재 비율 등의 정보가 수집·저장돼 완성품의 DPP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콥3에 해당하는 완제품 제조사의 공급망에 속하는 N차 하청업체까지도 DPP를 준비하지 않는다면 글로벌 수출 제조 생태계에서 살아남을 수 없음을 의미하는 무시무시한 규제가 2027년 2월 배터리 분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10일 진행된 2024 INNO-TECH KOREA FORUM에서는 제조업과 인공지능 융합을 위한 국내 산업의 지능화 전략과 이에 필수적으로 동반되는 데이터 표준·공유·활용에 대한 촉진 방안 논의가 진행됐다.
이정준 서울대 교수는 발제를 통해 다가오는 DPP 규제와 국내 제조업 위기를 지적하며 제조업 데이터 공유와 수집, 활용을 촉진하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이 교수는 “DPP를 통해 원자재 탄소배출 트래킹도 가능하며 모든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을 알 수 있다”면서 “DPP 준수 여부에 따라 인센티브와 패널티 근간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배터리 분야가 첫 타겟으로 시행 예고된 가운데 전자제품, 화학, 건설, 의류, 플라스틱 등이 최우선 순위(First Priority)로 지정돼 있으며, 향후 세컨드, 서드 등이 추가될 것으로 점쳐졌다.
▲이정준 서울대 교수가 DPP 규제와 산업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DPP 적용 사례의 예상으로 배터리 DPP의 경우는 원자재 채굴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집·저장해 자동차 제조와 판매, 이후 중고차 시장에까지 DPP 트래킹이 이어지며, 마지막에 폐차되어 배터리가 회수되기까지의 전 과정의 데이터가 DPP로 모이게 된다.
각각의 공급망에 속하는 하청기업들이 일괄적으로 DPP를 준비하지 않는다면 완성품의 DPP는 완성될 수 없으며, 해외 수출 목적의 제조사는 DPP를 적용한 원부자재, 부품사와의 공급망 생태계를 원할 것이다.
이에 이 교수는 “회사만의 시스템으로 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며 회사 간 데이터가 오갈 수 있게 만들어야 하기에 데이터 표준 모델이 필요하다”고 제언하며, 각 기업이 데이터 주권을 각자 가지면서 데이터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스페이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데이터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준수하면서도 표준 개발을 통한 데이터 스페이스의 확보는 단순히 단일 기업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중소기업은 더더욱 아무런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 주도 하에 선도 과제를 기획하고 관련 기업체들을 모아 컨소시엄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2019년부터 독일이 GAIA-X 프로젝트 내부의 라이트 하우스 프로젝트로써 다양한 산업분야의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을 발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일본은 우라노스 에코시스템이라는 산업데이터 연계 플랫폼을 자체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지난해 과제에 착수해서 올해 말부터 업계 적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DPP 및 유사 기술들의 적용이 전세계적 추세로 발빠르게 이뤄지는 가운데 한국이 제조업 데이터 수집·활용에 뒤쳐진다면 수출, 공급망 기업으로서의 시장 지위에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디지털 트윈, AI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이 미래 대응에 핵심적인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