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션 제어 시스템을 설계할 때 모터의 위치, 속도, 방향 등 핵심 매개변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코더(Encoder)가 필요하다. 다만 인코더는 다양한 종류가 있고, 명확한 장단점 및 특성이 있는 만큼 최적의 선택을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요구 사항을 면밀히 분석해 균형 잡힌 결정이 필요하다.
광학식 고정밀 의료·반도체, 자기식 중공업 등 혹독한 환경 적합
정전용량식 낮은 소비 전력·높은 신뢰성 스마트·휴대용 기기 인기
“모터 제어 시스템에서 인코더 선택은 설계 목표 및 프로젝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각 유형의 인코더는 명확한 장단점과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최적의 선택을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요구 사항을 면밀히 분석하여 균형 잡힌 결정을 내려야 한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의 빌 슈위버(Bill Schweber)는 최근 TRENDS IN TECH에 ‘모션 제어에서 인코더의 역할과 제품 선택 시 고려사항’이라는 글을 기고하며, 인코더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빌 슈위버에 따르면 모션 제어 시스템을 설계할 때 모터의 위치, 속도, 방향 등 핵심 매개변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일은 필수적이다.
특히 산업용 로봇, 의료 장비, 정밀 제조 공정 등에서 사용되는 고급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모터 상태를 정확히 감지하여 제어 성능과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품이 바로 ‘인코더(Encoder)’다.
인코더는 로터의 각 위치를 연속적으로 읽어내 컨트롤러(아날로그, 하이브리드, 디지털 방식 등)에 전달하는 추가 센서로 작동한다.
로터의 각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읽어냄으로써, 시스템 컨트롤러는 로터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밀하고 신뢰성 높은 모터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때 인코더 선택은 필수 고려 사항이다.
인코더는 크게 광학식(Optical), 자기식(Magnetic), 리졸버(Resolver), 정전용량식(Capacitive) 등 네 가지 주요 유형으로 구분된다.
각 기술은 고유한 특성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최적의 선택을 위해서는 각각의 기술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광학식 인코더는 LED 광원과 코드 휠, 광 센서를 활용하여 위치 정보를 얻는다.
코드 휠이 회전하면 광 센서가 빛의 변화를 감지해 펄스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설계가 간단하고 고해상도(최대 4,096펄스/회전)를 제공한다.
반면에 코드 휠이 깨지기 쉽고, 먼지나 오염에 민감한 점은 단점으로 꼽힌다. 또한 동작을 위해 일정한 전력이 필요하다.
자기식 인코더는 모터 샤프트 끝에 부착된 영구 자석과 홀 효과 센서(Hall Effect Sensor)를 이용해 자기장 방향 및 강도의 변화를 감지한다.
자기식 인코더는 광학식에 비해 먼지, 습기, 오일 등 열악한 환경에서 견고한 성능을 제공하며, 전력 소모가 낮은 장점을 가진다.
다만 모터 자체에서 나오는 자기장이나 주변의 전자기 간섭(EMI)에 취약할 수 있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리졸버는 자기 원리를 기반으로 한 변압기 형태의 인코더로, 로터에 일정 주파수의 교류 신호를 가하고, 사인 및 코사인 권선 간 신호 차이를 측정해 로터의 절대 위치를 정확히 산출한다.
견고성이 뛰어나 과거 미사일 유도 시스템이나 항공 우주 장비 등 극한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나, 크기와 비용이 크고, 소비 전력이 많다는 점에서 현재는 일부 특수 분야에서만 사용된다.
정전용량식 인코더는 로터의 회전에 따라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해 위치 정보를 얻는 방식으로, LED가 필요 없어 낮은 전력 소비와 긴 수명을 자랑한다.
또한 크기가 작고 전기적 노이즈에도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 디지털 기반 시스템에 적합하지만, 공기 중 오염 물질에 의한 성능 저하의 가능성이 있다.
이렇듯 각 인코더 기술은 해상도, 인터페이스 호환성, 전력 소모, 환경적 견고성, EMI 내성, 크기, 비용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서로 다른 장단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최적의 인코더를 선택하려면, 사용 환경과 요구 조건을 신중히 분석하고 우선순위를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밀의 의료 로봇이나 반도체 제조장비와 같이 깨끗하고 안정적인 환경에서는 높은 해상도와 정밀도를 제공하는 광학식 인코더가 적합하다.
반면에 중공업 현장이나 자동차 부품 생산라인과 같은 혹독한 환경에서는 자기식 인코더가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정전용량식 인코더가 소형화된 스마트 기기나 휴대용 장비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이는 낮은 소비 전력과 작은 크기, 높은 신뢰성 때문이다.
반면에 리졸버는 특별한 신뢰성과 내구성이 필요한 군사·항공 우주 분야에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추세다.
결국 모션 제어 시스템의 설계자는 각 기술의 장단점과 세부 특성을 깊이 이해하고, 실제 현장의 요구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적의 인코더를 선택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