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목 파고네트웍스(pagonetworks) 대표이사는 23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된 ‘파고 시큐리티 서밋(Pago Security Summit) 2025’의 부대 행사인 기자간담회에서 기업들의 사이버 보안 위협에 고급 MDR(Managed Detection and Response)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업들의 사이버 보안을 지원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권영목 파고네트웍스(pagonetworks) 대표이사
AI 기반 보안 솔루션·전문가 역량 결합 24시간 실시간 위협 탐지·대응
기업 자체 운영 어려운 보안팀 대신 비용 절감·안정적 보안 대응 가능
“디지털 시대가 빠르게 진화하면서 사이버 위협도 날로 고도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단순한 방화벽이나 침입 탐지 시스템을 넘어, 보다 정교한 위협 대응 전략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파고네트웍스(Pago Networks)는 고급 MDR(Managed Detection and Response)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업들의 사이버 보안을 지원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권영목 파고네트웍스(pagonetworks) 대표이사는 23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된 ‘파고 시큐리티 서밋(Pago Security Summit) 2025’의 부대 행사인 기자간담회에서 기업들의 사이버 보안의 최전선에서 사이버 위협과 맞서 싸우고 있다고 밝혔다.
권영목 대표이사는 파고네트웍스는 단순한 보안 솔루션을 공급하는 기업이 아니라며, “유어 프론트 라인 어게인스트 사이버 스레츠(Your Frontline Against Cyber Threats)”이라는 슬로건 아래, 고객사를 대신해 최전선에서 사이버 위협과 맞서 싸운다고 언급했다.
이를 위해 파고네트웍스는 AI 기반의 보안 솔루션과 전문 분석가들의 역량을 결합해 24시간 실시간 위협 탐지 및 대응 서비스를 제공한다.
MDR 서비스의 핵심은 자동화된 탐지 기술과 인간의 직관을 결합한 다층적 대응에 있다.
AI 기반 탐지 솔루션이 위협을 식별하면, 파고네트웍스의 분석가들이 이를 검증하고 필요한 조치를 수행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기존 보안 시스템이 놓칠 수 있는 사이버 공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파고네트웍스의 역량은 이미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2024년 이들은 엔터프라이즈 시티 매거진으로부터 아시아 최고의 매니지드 서비스 프로바이더 상을 수상했다.
또한 매년 글로벌 24시간 해킹 대회인 포세이돈 CTF에 참가해 뛰어난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이 대회에서 파고네트웍스는 5개 팀을 출전시켰고 모두 글로벌 톱 10에 랭크되면서 업계에서 최고의 수준을 인정받았다.
파고네트웍스는 다양한 보안 솔루션과 서비스 모델을 통해 기업들의 개별적인 보안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기업이 자체적으로 운영하기 어려운 보안팀을 대신해 파고네트웍스가 버추얼 팀을 구성해 관리한다. 이를 통해 고객사는 비용 절감과 더불어 보다 안정적인 보안 대응을 할 수 있다.
Network Detection and Response(NDR)을 통해 기업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사이버 위협을 자동 탐지하고,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AI 기반 EDR, NDR, XDR을 비롯해 다크 인텔리전스 기반의 ASM(Attack Surface Management)까지 포괄적인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파고네트웍스는 센티넬원(SentinelOne), 스텔라 사이버(Stellar Cyber), 스텔스몰(StealthMole) 등과 협업하며 강력한 사이버 보안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AI 기반 보안 기술을 활용해 위협 탐지의 정확성을 높이고, 공격자의 침투 시도를 차단하는 전략을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파고네트웍스는 단순한 위협 탐지를 넘어 라이브 스트랩턴팅(Live Threat Hunting)을 통해 숨겨진 공격을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AI가 감지하지 못한 정상 트래픽으로 위장한 공격이나 사용자 계정 탈취 시도 등을 신속하게 차단한다.
파고네트웍스는 기존 보안 벤더들과 차별화된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들은 단순히 위협을 탐지하고 보고하는 것을 넘어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우선 컨테인먼트(Containment)로 위협이 탐지되면 조기에 차단하여 공격이 확산되지 않도록 가두는 기능을 수행하고, 라이브 포렌식 & IR(Incident Response)로 발생한 사이버 공격의 원인을 분석하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내는 라이브 IR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액티브 디렉토리 및 방화벽 정책 조정으로 기업 내에서 침해된 계정을 즉시 비활성화하거나, 악성 트래픽을 차단하는 능동적 보안 조치를 수행한다.
권영목 대표이사는 “파고네트웍스는 AI 기반 보안 솔루션과 고급 분석 역량을 결합하여 최전선에서 기업의 사이버 보안을 책임지는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단순한 탐지를 넘어 능동적인 대응까지 수행하며, 기업들의 보안 체계를 더욱 강력하게 발전시키고 있다”며 “기업의 사이버 보안이 단순한 방어 차원을 넘어 실질적인 공격 대응 체계로 진화하고 있는 지금, 파고네트웍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앞으로도 이들은 고객사와 함께 보안 위협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며, 보다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왼쪽부터)권영목 파고네트웍스 대표이사와 스텔라사이버의 Aimei Wei CTO, 센티넬원의 Karen Chong 부사장, 스텔스몰의 Louis Hur 대표이사가 패널토의를 하고 있다.
한편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는 권영목 파고네트웍스 대표이사와 스텔라사이버의 Aimei Wei CTO, 센티넬원의 Karen Chong 부사장, 스텔스몰의 Louis Hur 대표이사가 함께 참석해 AI 기술의 발전과 사이버 보안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먼저 스텔라사이버의 Aimei Wei CTO는 이상 행동 탐지(Anomaly Detection)를 수행하고, 그래프 AI를 이용해 다양한 공격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복합적인 사이버 공격을 조합하는 기술을 구현한다고 밝혔다.
또한 AI 기반 스레드 헌팅(Threat Hunting) 기능을 통해 보안 전문가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질문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신 기술로 에이전틱 AI(Agentic AI)가 소개됐다.
해당 기술은 복잡한 문제를 작은 단위로 분해하여 자동으로 해결하며, 여러 AI 에이전트가 협력해 보안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근로자의 개념과 유사하며, 인간이 AI를 감독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센티넬원의 Karen Chong 부사장은 AI를 활용해 통합된 보안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들에게 자동화된 위협 탐지 및 대응 능력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센티넬원은 AI 기반의 EDR(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솔루션을 확장해 XDR, 클라우드 보안, 자동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보안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센티넬원은 AI 기반 SOC 운영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조직의 보안 태세를 강화하고 위협을 사전에 탐지 및 차단하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강조했다. AI 기반 자동화 솔루션은 보안 분석가들이 더욱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스텔스몰의 Louis Hur 대표이사는 다크 웹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AI를 활용해 태깅하고,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이버 범죄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AI를 통해 사진, 랜드마크,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정보가 사이버 범죄와 연관되어 있는지 식별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다크 웹 데이터와 기존 보안 솔루션의 IOC(Indicators of Compromise) 데이터를 연결해 강화된 위협 인텔리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AI를 활용해 데이터를 확장하고, 코릴레이션을 통해 공격의 관계성을 분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권영목 파고네트웍스 대표이사는 AI 기반 보안 기업들과 협력해 MDR(Managed Detection and Response)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설명했다. 위협 탐지 및 대응을 자동화하면서도 인간 전문가의 직관을 결합한 접근법을 취하고 있으며, 글로벌 보안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더욱 정교한 보안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파고네트웍스의 역할은 단순한 리셀러가 아닌 보안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차별성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보안 솔루션을 판매하는 일반적인 리셀러와 MDR 서비스 제공자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며, AI와 전문적인 인적 역량이 결합된 보안 모델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