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기술기업 트리즈(TREEZE)가 2025 서울 모빌리티쇼에 참가해 전기차 기반 특수 목적 차량 및 스마트팩토리 물류 모빌리티 등을 위한 PBV 플랫폼과 실차를 공개했다.

▲트리즈 부스 전경
국내 개발 자율주행 EV 플랫폼 제공
SW 역량 강화로 HW-SW 풀스택 지원
자율주행 기술기업 트리즈(TREEZE)가 2025 서울 모빌리티쇼에 참가해 전기차 기반 특수 목적 차량 및 스마트팩토리 물류 모빌리티 등을 위한 PBV 플랫폼과 실차를 공개했다.
ICV, EV, 버스, 특수 목적 차량 등 다양한 모빌리티 플랫폼을 개발하는 트리즈는 ‘ASTRA LINK’를 통해 모든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자율주행 환경을 제공한다. △자율주행 셔틀 △자율주행 항만용 트랙터 △연구, 교육용 오픈 모빌리티 플랫폼 △다목적 소형 로봇 플랫폼 △자율주행 테스트용 로봇 플랫폼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Sim’ 등 모빌리티 플랫폼과 SW 솔루션을 풀스택으로 지원한다.
곽기성 트리즈 소프트웨어 매니저는 “EV 플랫폼은 저상 물류 로봇이나 단지 내 셔틀버스, 특수목적용 차량의 항만 물류 운송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면서, “여수 엑스포 단지 내에서 6인용 자율주행 셔틀버스가 시범 운영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플랫폼 △E2E 기반 자율주행을 위한 통합 소프트웨어 플랫폼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등 SW 스택까지 개발해 풀스택 토탈 모빌리티 솔루션 공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었다.
트리즈는 11년차 자율주행 전문기업으로 EV 플랫폼을 비롯한 모빌리티 하드웨어 기술에서 더 나아가 최근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에도 총력을 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곽 매니저는 “트리즈가 지난해부터 SW 고급 인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으며, 최근 트리즈 로고 및 콘셉트의 변경 등을 통해 리브랜딩을 도모해나가고 있다”고 말해 독립된 기업 브랜드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해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