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산업에서 LCD 사업을 접고 OLED에 올인하는 한국이 중국의 디스플레이 산업 추격으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대면적화되는 패널 추세에서 LCD가 의외의 복병으로 대형 TV 시장을 넘보고 있으며, OLED 설비를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중국 행보에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 시름이 커지고 있다.
■ 中 100인치 LCD TV, 단돈 1,999달러
미국 대형 전자제품 유통업체인 베스트바이(Best Buy)에 98인치 4K LED TV와 100인치 4K QLED TV가 단돈 1,999달러 가격에 올라왔다. 한화 267만원 가량에 100인치 TV를 살 수 있는 것이다.
각각 중국 가전업체 TCL과 하이센스(Hisense) 제품으로 차이나스타와 HKC 디스플레이(이하 HKC)가 패널을 공급하고 있다. LED 및 QLED 모두 백라이트가 있는 LCD TV로 전문가들은 분류하고 있기에 앞선 제품들은 모두 LCD 기반 100인치급 TV로 저가 공세에...(더보기)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LCD #OLED #대면적화 #중국 #중국디스플레이 #BOE #HKC #비전옥스 #차이나스타 #산업전망 #한중전략
▲LG디스플레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사진:LG디스플레이)
中 LCD 리더십 넘어 OLED 시장까지 눈독
디스플레이 출하 추세, 세트 감소·대면적화
中 OLED 진출 명암 분명...韓 IT 수요 타개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LCD 사업을 접고 OLED에 올인하는 한국이 중국의 디스플레이 산업 추격으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대면적화되는 패널 추세에서 LCD가 의외의 복병으로 대형 TV 시장을 넘보고 있으며, OLED 설비를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중국 행보에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 시름이 커지고 있다.
■ 中 100인치 LCD TV, 단돈 1,999달러
▲베스트바이 홈페이지에 올라온 TCL 98인치 4K LED TV 제품 캡쳐
미국 대형 전자제품 유통업체인 베스트바이(Best Buy)에 98인치 4K LED TV와 100인치 4K QLED TV가 단돈 1,999달러 가격에 올라왔다. 한화 267만원 가량에 100인치 TV를 살 수 있는 것이다.
각각 중국 가전업체 TCL과 하이센스(Hisense) 제품으로 차이나스타와 HKC 디스플레이(이하 HKC)가 패널을 공급하고 있다. LED 및 QLED 모두 백라이트가 있어 LCD로 전문가들은 분류하고 있기에 앞선 제품들은 모두 LCD 기반 100인치급 TV로 저가 공세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옴디아 디스플레이 컨퍼런스 2024에서 정윤성 옴디아 상무는 “100인치 LCD TV에서 중국 업체들이 공격적으로 시장 공략을 준비 중이다”라며 “러프하게는 80~90% 물량이 늘어날 것이며 특히 2024년 블랙프라이데이를 겨냥해 100인치급 제품이 1,000달러 이하로 반드시 나올 것”이라고 예상해 국내 OLED TV 업체에 위협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LCD 패널 업체인 BOE, 차이나스타, HKC에서 98~100인치 4K LCD 패널을 생산하는데 580달러 정도의 가격으로 TV 세트 메이커에 납품하고 있다. TV 가격 대비 패널 비용이 평균 33% 수준을 차지하는 것을 감안할 때 580달러 패널로 제작된 TV 가격은 1,740달러 내외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반면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 77인치 4K OLED 패널 가격은 1,000달러 내외로 앞선 100인치급 4K LCD 대비 가격이 2배 가량 비싸면서도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 동급 면적에서 LG 4K 97인치 OLED TV는 2만4,999달러인 것을 감안할 때 시장에서 중국의 저가 공세에 국내 업계가 받을 타격을 전문가들은 우려했다.
■ TV 패널 출하, ‘세트 감소↓ 면적 증가↑’ 추세
▲LG디스플레이 투명 OLED(사진:LG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및 가전 업계 주요 추세 중 하나는 바로 TV 출하량의 지속된 감소이다. TV 세트 출하량은 매해 우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옴디아에 따르면 2010-2011년 2억4,000만대를 웃도는 정점을 찍은 이후 전세계 TV 출하량은 우하향하며 지난해 2억130만대를 기록했다.
올해는 2억490만대를 전망하며 전년대비 1.8% 소폭 상승하며 경기 회복을 점치고 있다. 이러한 세트수요 회복에는 대면적 패널의 TV 출하량이 한몫을 하고 있다.
보편화된 OTT 및 스트리밍 서비스는 기존 지상파 채널보다 큰 시장 점유율과 영향력을 갖기 시작했다. 이미 온라인·비디오 광고 시장이 TV 광고 시장을 뛰어넘었으며, 각 가정에 최소 1대 이상은 기본 구비하던 TV는 이제 IT 디바이스와 스마트 모니터 등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트 수요는 감소하는 반면 대면적 TV에 대한 수요는 TV 교체주기와 맞물려 매해 증가해왔다. 이에 디스플레이 출하량에서 세트는 감소하고 면적은 증가하는 추세가 몇 년간 꾸준히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OLED 수요 급증이 전망된다. LCD 패널은 지난해 수요 침체 영향으로 출하 면적 및 세트 출하 증가가 주춤한 반면, OLED의 올해 출하 전망은 면적 25%, 유닛 12% 증가로 옴디아는 예상했다. 아울러 LCD와 OLED 모두 대면적화 추세에 맞춰 면적 기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공정을 대형쪽으로 옮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中 저가 대형 LCD 공세...韓, IT 신규 수요 타겟
▲삼성 플렉시블 OLED(사진:삼성디스플레이)
저가 LCD 대형패널이 시장에 다수 공급되면서 보급형 대형 LCD TV 가격이 낮게 형성되고 있다. 98인치 이상 대형패널에서는 BOE, HKC, 차이나스타가 3대장으로 시장에 군림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공격적인 LCD 패널의 대형화 전략에 국내 OLED 패널 제조사에선 위기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023년 국내 대형 OLED 공급에서 평균 가동률은 50% 아래로 밑돌며 저조했다. 올해는 신규 고객사 수주와 경기 회복에 힘입어 프리미엄 TV 제품군에서 출하 확대를 노리고 있지만 중국의 저가 공급에 맞서 제한적인 회복폭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OLED 제조사는 TV 및 모니터용 OLED 부문 목표 출하량인 900만대를 달성했을 시 75%의 팹 가동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중국의 저가 대형 LCD 패널 공세에 맞서 LG디스플레이에서도 대형 LCD 패널 기반 TV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문도 일부 전문가들은 언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TV 시장이 공략이 어렵다고 판단된다면 LG디스플레이는 OLED 신규 시장인 IT 디바이스·게이밍 모니터 등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AI PC 흥행에 힘입어 모니터 및 노트북 패널 등에서의 OLED 채용이 기대되며, 신규로 애플 맥북과 아이패드 등에서 OLED 채택이 기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LG디스플레이는 애플과 삼성, 자사 제품을 제외하면 중국향 OLED 출하가 저조하고 주요 고객사의 제품 생산 전략에 크게 종속되는 포트폴리오로 고착화되고 있어 시장 다변화에 대한 타개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 中 OLED 진출, 건전성·수익성엔 의문...좀비 OLED 가능성 有
중국은 LCD 시장을 리딩하는 데 그치지 않고 OLED 시장까지 넘보고 있다. 삼성이 꽉 잡고 있는 스마트폰 OLED 시장에서 BOE, 차이나스타, 비전옥스(Visionox), 티안마(Tianma) 등 중국 패널업체의 중소형 OLED 출하량이 매년 늘고 있다.
옴디아에 따르면 중국의 스마트폰 OLED 시장 점유율은 2024년 41%로 추정되며 중국 업체들은 46%까지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OLED 패널이 급격히 증가하며 삼성은 과거 80%가량 점유하던 중소형 OLED 패널 시장에서 최근은 50% 이하까지 내려온 것으로 전해졌다.
일찍이 BOE가 8.6세대 OLED 팹을 건설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비전옥스도 8세대 OLED를 2026년 하반기부터 양산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다만 OLED 팹에서 주요 초기 생산품이 노트북 패널인 것을 생각해본다면 비전옥스의 OLED 패널을 소화할 만한 주요 IT 디바이스 업체가 애플, 삼성전자, LG전자 등으로 제한적인 상황이다. 이에 구체적인 고객사 수주가 가시화되지 않는다면 양산 일정은 변동될 여지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OLED 업계는 중국 LCD 저가 공세를 피해 OLED 시장으로 넘어왔지만 OLED 시장에서도 파랑새는 없었다. 중국 패널업체들은 공세적인 OLED 투자 전략을 펼치면서 설비를 확충하고 있는 상황에 한국 업체들이 위기 맞은 것이다.
다만 데이비드 시에 옴디아 수석 리서치 디렉터는 “중국이 OLED 부문에서 적극적으로 케파를 늘리고 있으나 재무 건전성이나 수익성 측면에서 우려되는 부분은 있다”며 “지속적인 OLED 시장 공략과 안정화를 위해서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이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마이너스 수익을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말해 중국 OLED가 좀비 OLED로 전락하는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편, 한국 OLED 업체들이 중국의 적극적 공세로 인해 어려움에 직면한 가운데 이를 향후 IT 및 모니터 부문에서 신규 수요 창출을 통해 국면 타개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