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내 AI 인프라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는 주권적이고 지역적인 특성을 지닌다”면서, “전세계 하이퍼스케일러가 참여할 수도 있지만 데이터 주권 측면과 해당 국가의 AI 목표 달성을 고려한다면 새로운 인프라 제공업체에 기회가 있을 것”으로 엔비디아 로니 부사장은 내다봤다.

▲사진 엔비디아
엔비디아 AI 서밋 재팬, 도쿄 개최
프리브리핑서 日 내 AI 가속화 소개
“지역 내 AI 인프라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는 주권적이고 지역적인 특성을 지닌다”면서, “전세계 하이퍼스케일러가 참여할 수도 있지만 데이터 주권 측면과 해당 국가의 AI 목표 달성을 고려한다면 새로운 인프라 제공업체에 기회가 있을 것”으로 엔비디아 로니 부사장은 내다봤다.
엔비디아 AI summit Japan(AI 서밋 재팬)이 13일 도쿄에서 개최했다. 본격 행사에 앞서 지난 12일 엔비디아는 미디어 프리브리핑을 열고 엔비디아 AI 서밋 재팬에서 다뤄질 소식들을 앞서 전했다.
마사타카 오사키(Masataka Osaki) 엔비디아 일본 지사장은 일본에서 열리는 AI 서밋 재팬에 대해서 소개하고 차세대 물리 AI 및 로봇공학에서 엔비디아 플랫폼이 업계 적용을 가속화하는 방법과 일본이 글로벌 AI 리더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에 대해서 발표했다.
오사키 지사장은 “일본의 3,000개 기업이 엔비디아와 협력해 그들의 작업을 가속화했으며 지금까지 2만5,000명 이상의 일본 개발자들에게 AI 교육을 수행했다”면서, “일본 내 상위 10대 대학 및 연구 기관과의 협력 등을 통해 일본-엔비디아의 파트너십은 기술 확장을 넘어서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니 바시스타(Ronnie Vasishta) 엔비디아 부사장은 과거 컴퓨팅은 직렬 프로세스는 CPU에 적절한 반면, 최근엔 새로운 유형의 컴퓨팅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가속 컴퓨팅 시대가 시작됐다고 언급했다.
로니 부사장은 “일반 데이터센터는 이제 AI 팩토리로 변화하고 있으며 전세계 산업은 이러한 변화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 탈바꿈하고 있다”면서 △소프트뱅크 △사쿠라 인터넷 △GMO 인터넷 그룹 △KDDI △HIGHRESO 등 일본 내 AI 및 클라우드 서비스 주요 공급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파트너십 생태계를 강조했다.
특히, 소프트뱅크는 일본 내 AI 슈퍼컴퓨터 구축을 위해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플랫폼을 채택했다. 또한 DGX B200 기반 AI 그리드 구축과 이를 커버하는 5G AI-RAN을 시범 운영한다고 전했다. AI-RAN은 달러 당 5배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외에도 후지쯔(Fujitsu) 사례에서 금융, 법률, 정부 서비스에서 정확도에 민감한 애플리케이션에 AI 모델을 활용하며, 도쿄과학연구소는 빌딩, 문화 연구 등 다양한 활용 사례에서 엔비디아 NIM 배포를 통해 일본만의 모델을 구축했다고 로니 부사장은 평가했다.
오사키 지사장은 “일본 기업과 정부가 지난 몇 년간 AI 팩토리에 투자해 왔으며 일본은 로봇 산업을 선도하는 국가로서 AI를 기계에 통합할 때가 됐다”고 평가하며, “이 시점이 엔비디아와 함께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