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이 전자파 인체 영향과 안전에 대한 우려와 관심이 큰 가운데 잘못된 정보와 오해를 바로잡기 위해 정보 공유와 전문가 만남의 장이 매해 개최된다. 최근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디지털 융복합 시설에 대한 전자파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자파 전문가들이 나와 측정 결과와 정보를 공유했다.
▲제12차 전자파 안전포럼
10주년 전자파 안전포럼 개최, EMF 우려 해소
“데이터센터 전자파 우려 과도”...측정·검증 공개
시민들이 전자파 인체 영향과 안전에 대한 우려와 관심이 큰 가운데 잘못된 정보와 오해를 바로잡기 위해 정보 공유와 전문가 만남의 장이 매해 개최된다. 최근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디지털 융복합 시설에 대한 전자파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자파 전문가들이 나와 측정 결과와 정보를 공유했다.
1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올해 10주년을 맞이하는 제12차 전자파 안전포럼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 주최로 개최했다.
2015년 첫 1회차에서 휴대전화의 전자파 EMF 이해를 시작으로 △가전기기 △기지국 △이동통신 △5G △생활 속 전자파 등을 주제로 안전포럼이 개최한 바 있다. 특히 시민들의 전자파 안전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면서 생활 전자파 및 최신 전자파 이슈 체크 차원에서 의견 청취와 전문가 의견 제공이 활발히 이뤄졌다.
올해는 ‘우리나라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의 현주소’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에서는 김남 충북대 교수가 10주년 전자파 안전포럼 이슈 및 성과를 발표했으며, △우리나라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김기회 국립전파연구원 연구관) △디지털 융복합시설 전자파(최형도 한국전자파학회 전자장과생체관계연구회 위원장) △전자파 이슈 파헤치기 패널토론 등이 진행됐다.
최형도 위원장은 디지털 융복합시설 전자파의 측정 및 검증 결과를 공유했다. 특히 데이터센터 전자파 우려 민원 등으로 주민 반대와 마찰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여러 기관이 참여해 측정 및 검증한 결과를 공개했다. 최 위원장은 “최고로 나오는 지점을 최대한 찾아본 결과도 13mG(밀리가우스)에 불과했다”라고 밝혔다. 지구자기장이 500~550mG이다.
▲최형도 위원장이 디지털 융복합시설의 전자파 이슈 현황 및 분석을 발표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 데이터센터 관련 민원으로 △전력 과다 사용 △냉각수 이용에 따른 수자원 과다 사용 △소음 등이 주 민원인 반면, 국내는 특고압 선로 사용에 따른 전자파 관련 민원이 대다수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최 위원장은 전자파 오해 및 우려와 관련해 “이해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전문가들이 나와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기회 연구관이 국내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에 대해 설명했다. 전자파 인체영향은 주파수에 따라 달리 반응하며 저주파에서는 자극작용, 고주파에서 열적작용이 일어난다는 김 연구관은 “현재 국내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값은 전자파 세기에 따라 인체에 영향을 주는 임계값의 50분의 1로 기준을 설정했으며 이는 안전계수이다”라고 설명했다.
국내를 비롯해 해외 여러나라의 인체보호 기준은 ICNIRP(국제비전리복사방호위원회)에서 규정한 인체 영향 기준과 권고를 따르고 있다. 대표적인 기준값은 가전제품과 송전설비와 같은 60Hz 제품에서 전자파 기준값은 833mG이다.
ICNIRP은 2010년과 2020년에 개정함에 따라 60Hz 기준에서 2000mG로 상향됐다. 다만 현재 국내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은 아직 1998년 기준에 근거해 833mG을 유지하는 상태이며 이와 함께 전자파흡수율 기준도 1998년 현행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김남 교수는 “전자파 안전 포럼은 시민들과의 소통의 장으로 140여명의 사전 등록자들이 등록했다”면서, 전자파 불안감을 조성하는 유사과학과 판촉 제품들을 비판하며 전자파 차단 제품의 과대광고, 온라인을 통한 부정확한 전자파 정보 전달 등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