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 배터리 산업의 성장에 따라 많은 우리나라 기업들도 이차전지 재활용, 재제조, 재사용 등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와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미국, 유럽 등으로의 해외진출과 더불어 원료 확보를 위한 기업 인수 등 사업 확장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사용후 배터리 산업 플레이어, 해외 진출·사업 확장 적극 나서
새빗켐·아이에스동서·성일하이텍 등 적극적 해외 진출…원료 확보부터 나선다
포엔, 재제조·잔존가치 평가 기술 극찬…사용후 배터리 산업 대기업 전유물 아니다
목차
1) 친환경성·핵심광물 해외 의존도 탈피에 큰 가치
2) 전기차 인기 ↓…사용후 배터리 시장 전망은 어떠한가
3) 우리나라 사용후 배터리 산업 플레이어·기술 현황
4) LFP 배터리도 재활용해야…금전적 가치만 고려해선 안 된다
5) 사용후 배터리 산업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편집자주] 2040년 전기차 폐차 대수가 4,000만대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며 전기차 전주기 탄소발자국의 약 30%를 차지하고, 전기차 가격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배터리의 재활용 기술은 경제성 부문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로 꼽힌다. 사용후 배터리를 재사용·재활용하지 않으면 폐기물이 지속 증가하게 되며, 적절한 처리를 거치지 않고 방치하거나 매립·소각할 경우 유해물질이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친환경성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럽의 CRMA, 미국의 IRA 등에 대응해야 하는 흐름 상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규모는 계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경제성, 친환경성을 모두 아우르는 사용후 배터리 산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우리나라 기업들의 기술 및 사업 현황과 산업 전망까지 4월24일부터 매주 수요일, 5주에 걸쳐 기사에 담아낸다.
사용후 배터리 산업의 성장에 따라 많은 우리나라 기업들도 이차전지 재활용, 재제조, 재사용 등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와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미국, 유럽 등으로의 해외진출과 더불어 원료 확보를 위한 기업 인수 등 사업 확장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 3월 코엑스에서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4에서도 배터리 재활용, 재제조 기업들이 대거 참여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배터리 산업을 이끄는 기업과 기관들이 모인 배터리 얼라이언스는 배터리 핵심광물확보를 목표로 2022년 출범했으며 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한 배터리 3사, 사용후 배터리 산업 관련 기업, 배터리 산업 관련 기관 들로 구성됐다.
지난해 11월 배터리 얼라이언스는 ‘사용후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업계(안)을 정부에 제출하는 등 사용후 배터리 산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배터리 얼라이언스 중 재제조, 재사용, 재활용 분야에 해당하는 기업은 △포엔 △피엠그로우 △성일하이텍 △LS MnM △고려아연이다.
배터리 3사, OEM, 한국환경공단, 폐차 관련 기업들 또한 직간접적으로 사용후 배터리 산업과 관련이 있다.
위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용후 배터리 산업 관련 기업은 △에코프로 △새빗켐 △엘앤에프 △포스코 △엔켐 등이 있으며 제주테크노파크를 비롯한 기관들도 선도적인 기술개발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포엔
포엔은 현대차 사내벤처 스핀오프로 사업을 본격 시작하여 2021년 6월 현대차증권 등의 기업으로부터 시리즈A 투자 계약을 받기도 했다.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한 재제조를 통한 친환경 선순환경제에 기여한다는 핵심가치를 바탕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포엔은 인터배터리 2024 ‘인터배터리 어워즈’에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제조/재사용’ 기술로 사용 후 배터리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바 있다.
포엔의 기술은 배터리를 진단할 때 사용되며, 사용 후 전기차 배터리 팩에 대해 배터리의 전압과 온도, 충방전, 고장상태 등과 차종별 BMS를 정밀 진단하여 높은 품질의 재제조 배터리 생산을 가능하게 한 점에 높은 점수를 받았다.
재제조뿐만 아니라 배터리 잔존가치 평가, e-모빌리티 등으로의 재사용 등의 사업영역에서도 두각을 보이고 있으며 자원 재순환에 앞장서고 있어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 기업이다.
■ 새빗켐
새빗켐은 전지 및 반도체 식각액 재활용 사업을 통해 재자원화하여 지속가능한 순환 경제를 실현하는 기업이다.
전기차 폐배터리에서 높은 수준의 유가금속 회수 기술력을 확보, 자원화 가치가 높은 폐기물에 대한 선제적 재활용을 구현하며 전자 재활용 분야의 선두 주자로 발돋움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을 입찰 등을 통해 입수해 재활용하는 등 수입처를 다변화하고 있기도 하다.
새빗켐은 블랙매스를 회수하는 과정부터 전구체 복합액으로 만드는 모든 공정을 책임지고 있으며 핵심적인 공정에 대해서는 특허도 보유하고 있다.
새빗켐은 기존 80~85%에 불과했던 회수율을 90%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R&D에도 큰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미국에도 공장을 설립한다는 계획을 내세우기도 했다.
지난 1월 산업교육연구소에서 개최한 ‘2024년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기술, 시장 이슈 및 전망과 사업전략 세미나’에서 정창환 새빗켐 전무는 “2023년 매출 460억원을 기록했으며 2025년 목표는 1,800억원”이라고 전하며 “새빗켐의 주력 제품은 전구체 복합액을 만드는 pCAM-X 솔루션이 2024년 본격 가동되며 매출액을 견인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 성일하이텍
성일하이텍은 인류의 지속가능을 위한 친환경 리사이클러로서의 자원사용 패러다임 대전환이라는 슬로건 아래 완전 순환형의 리사이클링으로 폐배터리에 가치를 더하고 탄소제로와 자원 재순환 실현에 힘을 보태고 있다.
성일하이텍은 2008년부터 전처리 공장을 가동했으며 모든 종류의 이차전지 스크랩을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습식 제련 공장도 가동하여 주요 금속인 코발트, 니켈, 망간, 리튬 등을 회수하고 고순도 배터리용 소재를 생산하고 있다.
지난 4월 성일하이텍은 군산시의 3공장을 오는 6월 가동한다고 밝혔다.
3공장은 스크랩과 폐배터리를 분쇄한 가루 형태의 블랙매스를 원료로 하여 연간 니켈 1만5,000톤, 코발트 1,200톤, 리튬 9,500톤을 생산 가능하다.
3공장은 2분기 시생산을 시작하며 2030년 매출 1조원 달성을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일하이텍은 지난해 8월 미국 조지아주에 이어 북미 제2거점으로 인디애나주에 리사이클링파크(블랙매스 수거 후 전처리 과정 진행하는 곳)를 설립한다고 발표하기도 하며 글로벌 배터리 재활용 기업으로 나아가려는 적극적인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 아이에스동서
아이에스동서는 ‘폐배터리 회수-전처리-후처리-자원순환’으로 이어지는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밸류체인을 완성한 기업으로 인터배터리 2024에서도 많은 주목을 받았다.
아이에스동서는 인선모터스의 인수로 수도권 부터 중부, 남부까지 전국을 잇는 폐배터리 회수의 독보적인 네트워크를 보유했다.
인선모터스는 전국 45% 규모의 폐차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폐배터리 운송, 방전, 해체 기술과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연간 7,500톤의 폐배터리를 처리할 수 있으며 완성차 업체와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것 또한 큰 장점이다.
전처리는 아이에스 비엠솔루션(이하 비엠솔루션)이 맡는다.
비엠솔루션은 수도권 최대 규모 전처리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공정 중앙컨트롤 및 독창적 안전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블랙매스 회수율 95% 이상으로 1호기에서 연간 7,000톤을 확보할 수 있는 캐파를 지녔다.
후처리를 담당하는 아이에스티엠씨(이하 티엠씨)는 블랙파우더, 블랙매스, NCM복합염, 복합앱, 탄산/인산 리튬을 생산한다.
아이에스동서는 또한 지난해 유럽 폐배터리 전처리 기업인 BTS Technology를 인수하여 폴란드 국경 지대에 약 1만5,000평 부지에 연간 1만2,000톤 처리를 할 수 있는 폐배터리 셀·모듈 전처리 전용 공장과 폐기물 전용 보관 창고를 확보하고 OEM, 배터리 제조사와의 협력도 추진 중이다.
국내 최초의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가진 만큼 이차전지 관련 기업들과의 탄탄한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영업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아이에스동서는 현재 연간 2만4,000톤 분량의 폐배터리 캐파를 확보했으며, 2026년까지 약 3배에 달하는 6만2,000톤까지 처리가능용량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다음 기사에서는 우리나라 사용후 배터리 산업을 이끄는 또 다른 주인공인 포스코, 에코프로, 엔켐 등 기업들과 폐배터리 운송 관련 기업들에 대해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