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전기차 과도기를 지나고 있는 지금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며 2030년 이후에도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서 큰 역할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전략적인 기술보호와 더불어 장기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다.
하이브리드, 환경규제 대응·수출 및 내수시장서 큰 역할 할 것…전략적 기술보호 必
PHEV 제외 하이브리드車 판매량 2018년 2.8%서 2023년 11.9%·증가율 BEV 앞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전기차 과도기를 지나고 있는 지금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며 2030년 이후에도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서 큰 역할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전략적인 기술보호와 더불어 장기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하 한자연)은 15일 코엑스 스타트업 브랜치에서 하이브리드를 주제로 제6회 자산어보 행사를 개최하고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의 한 축인 ‘하이브리드’의 기술을 포함한 최신 동향과 전망에 대해 다뤘다.
나승식 한자연 원장은 환영사에서 “각종 기후 위기의 발생으로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이 성장하는 가운데, 하이브리드 기술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하이브리드 산업 구성원 간의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여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효과적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해법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김덕진 한자연 하이브리드기술부문장
김덕진 한자연 하이브리드기술부문장은 ‘하이브리드 기술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발표하며 “도요타, GM 등 주요 제작사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진화 과정에서 고성능화와 저비용화에 초점을 맞췄으며, 현대차는 병렬형 파워트레인 시스템 고도화를 기본 전략으로 TEMD (Transmission Mounted Electric Device) 등에 집중하고 있다”며 “2030년 이후에도 하이브리드차는 환경규제 대응과 수출 및 내수시장에서 큰 역할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며 전략적인 기술보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일본과 비교해 연비를 향상시키는 기술은 동등한 수준이나 우리나라는 하이브리드 차종이 10여개밖에 되지 않아 브랜드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는 고급형 또는 경제형 투 트랙 전략을 구사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또한, 모터와 같은 기술을 바탕으로 한 고성능화와 더불어 소프트웨어 기반 기술도 시장 경쟁력에 있어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 전망했다.
이어 발표자로 나선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하이브리드 산업의 동향과 전망에 대해 이야기하며 PHEV를 뺀 하이브리드 자동차 판매량은 2018년 2.8%에서 2023년 11.9%로 증가했으며 주요국을 중심으로 2023년 하이브리드 자동차 판매 증가율(HEV 33.3%)이 배터리 자동차(28%)를 크게 앞섰다고 전했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Edmunds에 따르면, 미국 기준 지난해 11월 하이브리드 자동차 평균 가격은 4만2,500달러, BEV는 6만500달러, 내연차는 4만7,500달러이고, 많은 하이브리드 차량이 3만 달러 정도에서 시작했다.
Jim Farley 포드 CEO는 주류 소비자와 초기에 전기차를 사려 몰려든 고객이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보고, 일반 소비자는 BEV의 높은 가격을 수용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하며 포드는 F-150 Lightning BEV 픽업트럭의 생산계획을 삭감하고, F-150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생산량을 20% 확대, 2024년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4배 늘려 10만대 판매를 목표로 한다고 전한 바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에 따르면 한국 전기차 내수판매는 2023년 16만2,000대로 전년 대비 1.1% 감소했고 수소전기차도 54.4% 감소한 4,707대를 기록한 반면 하이브리드차(FHEV, PHEV, MHEV)는 국산 인기모델 대부분에서 선택이 가능해지며 전년대비 42.5% 증가한 39만1,000대가 판매되어 시장 점유율도 전년도 16.3%에서 22.3%로 성장하며 전체 전기동력차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
조절 선임연구위원은 장기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발전 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관련 연구 생태계의 지속과 경쟁력 강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국내외에서 현재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기술 경쟁력 강화가 매우 중요하며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존속한다고 가정하면, 내연기관 부품의 수요도 여전히 필요하여 이에 대한 보전 방안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